
- 일본에서는 대형 브랜드를 중심으로 중국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중국 시장의 진출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다양한 나라에서 수출 증가와 신흥 기업이 성장하고 있음
- 한국이라는 나라의 문화적 매력, 이른바 소프트 파워를 기반으로 한 산업적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한국 제품에 대한 기대와 수요가 더욱 증가
- 다양한 매체에서 노출되는 한국 연예인들의 이미지로 한국 여성이 피부가 좋다는 이미지가 각인되며 한국은 기초제품에 강하다고 인식
- 특히 일본에서는 색조를 중심으로 형성돼 있던 한국 코스메틱에 대한 기대와 이미지는 이제 기초 제품군에서도 호평이 이어짐
- 가성비와 가심비를 동시에 잡아 만족도를 높여 한국 코스메틱 시장은 앞으로도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
<한·일 화장품 수출액(대 주요국·지역 - 2020년)
일본 |
|
|
|
나라명 |
금액 (백만 달러) |
성장률 (2015 - 2020) |
구성비 |
전세계 |
5,816 |
256% |
100.0% |
중국 |
2,931 |
959% |
50.4% |
홍콩 |
1,144 |
177% |
19.7% |
한국 |
508 |
159% |
8.7% |
싱가폴 |
441 |
278% |
7.6% |
대만 |
292 |
1% |
5.0% |
미국 |
134 |
25% |
2.3% |
베트남 |
90 |
465% |
1.6% |
태국 |
52 |
1% |
0.9% |
말레이시아 |
25 |
58% |
0.4% |
러시아 |
12 |
-5% |
0.2% |
그외 기타 |
187 |
- |
3.2% |
한국 |
|
|
|
나라명 |
금액 (백만 달러) |
성장률 (2015 - 2020) |
구성비 |
전세계 |
6,486 |
147% |
100.0% |
중국 |
3,238 |
200% |
49.9% |
홍콩 |
630 |
0% |
9.7% |
일본 |
570 |
159% |
8.8% |
미국 |
516 |
278% |
8.0% |
베트남 |
238 |
1% |
3.7% |
러시아 |
211 |
25% |
3.2% |
대만 |
144 |
465% |
2.2% |
싱가폴 |
112 |
1% |
1.7% |
태국 |
112 |
9% |
1.7% |
말레이시아 |
75 |
90% |
1.2% |
그외 기타 |
640 |
- |
9.9% |
화장품의 수출 수량당 금액
나라명 |
단위(달러/kg) |
수출액(백만달러) |
수출량(천t) |
일본 (2020년) |
43 |
5,816 |
137 |
대한민국 (2020년) |
23 |
6,486 |
277 |
프랑스 (2019년) |
19 |
16,610 |
863 |